본문 바로가기
투자기초

[경제 용어] 디스인플레이션, 디프레션, 스태그플레이션 뜻과 의미

by 인탱 2023. 3. 5.

 

 

지난 시간에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또 다른 경제 용어인 스태그플레이션, 디스인플레이션, 디프레션 세 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Stagnation과 인플레이션 Infletion 의 합성어로,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인데도 오히려 물가는 지속해서 상승하는 저성장 고물가 상태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동시에 진행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지만 경기는 호황일 수 있고, 디플레이션은 경기는 침체되지만 물가가 낮은 상태일 수 있다는 장단점이 공존하는 반면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가 침체되는 와중에 물가까지 오르니 가장 최악의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유래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는 1970년대 중동 전쟁으로 인해 발생했던 석유 파동(오일쇼크) 사태에서 등장합니다. 

오일 쇼크는 당시 대표 산유국이던 사우디아라비아를 필두로 중동이 석유 감산과 가격 인상을 결정한 뒤 단기간에 유가가 급등하며 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 사건입니다.


당시 유가 상승으로 각종 제품의 기본 생산비용이 덩달아 급등했고 이에 따라 제품 가격도 인상되며 소비자는 소비를 멈추게 되었습니다. 소비가 줄어드니 갈수록 재고는 쌓여가고 덩달아 생산도 줄면서 회사는 직원을 해고하거나 파산했습니다.

 

문제는 이론적으로 전체 소비가 줄면 물가가 낮아져야 하는데, 유가가 계속해서 상승하니 가격 인하도 쉽지 않다는 점이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을 잠재우려면

당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20%까지 인상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국민들의 삶의 질은 바닥으로 고꾸라졌고, 결과적으로 1년이 지난 뒤에야 인플레이션이 5%대로 가라앉으면서 경기가 겨우 안정세를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잠재웠지만 지나간 1년 동안 서민들의 삶은 망가질 대로 망가진 뒤였고, 많은 피해로 인해 정상화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최근 미·중 무역 갈등 격화, 끝나지 않는 러시아 침공, 지속해서 높아지는 물가와 인플레이션 수치 등 각종 이유로 스태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온갖 원인으로 인해 각종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 채 떨어지지 않고 있는데, 경기는 침체로 향해가는 지표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과거에서 봤듯이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정상으로 돌아오기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장기간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데 높은 금리가 유지된다면 아주 많은 희생과 대가가 따를 것입니다.

세계 경제가 파국으로 가지 않도록 전 세계가 조속히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

요즘 디스인플레이션이라는 단어도 뉴스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단어는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을까요?


사실 이 단어는 공식적으로 등재된 단어는 아닙니다. 다만 시장에서 공공연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감소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인플레이션의 상승'이 둔화한다는 의미로, 여전히 물가가 상승하는 국면에 있지만 상승하는 폭이 줄어든다는 뜻입니다.

 

이 현상이 점점 0으로 수렴하다가 마이너스(-)로 향하는 순간을 디플레이션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디프레션(depression)

디프레션은 경기 불황 자체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사전적 정의로 "경제 활동이 일반적으로 침체되는 상태, 물가와 임금이 내리고 생산이 위축되며 실업이 늘어난다."고 되어있습니다.


생김새가 비슷한 경제 단어들이 많아 혼동하기 쉬우니 잘 구분해서 사용해야합니다.

 

지금까지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상황과 추가적인 경제 용어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습니다.

 

각 상황이 심해지거나 장기화 되는 경우 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해 가며 경제 상황을 조정한다고 했는데, 여기서 금리란 무엇이고 누가 이것을 결정하는 걸까요?

 

다음 시간에는 금리의 종류와 개념, 그리고 이것을 조절하는 대표격인 미연준(FOMC)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내용 정리

스태그플레이션이란 -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Stagnation과 인플레이션 Infletion의 합성어.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에 오히려 물가는 지속해서 상승하는 저성장 고물가 상태를 의미.

 

스태그플레이션의 유래 - 1970년대 중동 전쟁으로 인해 발생했던 석유 파동(오일쇼크) 사태에서 등장

 

스태그플레이션 대응 방안 - 말도안되게 높은 수치의 금리인상. 서민들의 삶이 박살남.

 

디스인플레이션이란 - 인플레이션 상승하는 정도가 줄어든다는 의미

 

디프레션이란 - 경기 침체를 뜻하는 단어

 

 

 

 

[경제 용어]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 뜻과 의미(1)

오늘 여러분께 설명해 드릴 내용은 코로나 펜데믹 이후 뉴스를 뜨겁게 달궜던 단어, 바로 인플레이션입니다. 오늘은 인플레이션의 의미와 이것이 경제적,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간략

intaeng.tistory.com

 

 

[경제 용어]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디플레이션 뜻과 의미

디플레이션이란? 디플레이션(deflation)이란 경제 전반에 걸쳐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해서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과는 반대되는 개념이죠.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는

intaeng.tistory.com

 

 

[경제 용어] 연준, FOMC란? (FED, 연준, FOMC 뜻 개념 정리)

요즘 경제 뉴스만 틀었다 하면 들려오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연준과 FOMC' 인데요. 오늘은 연준과 FOMC이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FRS, The FED (연방준비제도) 대한민국에 한국

intaeng.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