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지력과 열정은 잘못이 없다
새해가 다가오면서 '그래, 나 이제 진짜 달라질 거야.'라며 의지를 끌어올리는 당신. 불타는 열정과 원대한 포부로 근사한 계획을 세웠지만, 어째서인지 이 목표를 향한 실천이 한 달을 채 가지 못합니다. 그리고는 본인의 열정과 의지력을 탓하며 자책하고 또다시 좌절하는 본인을 발견하게 되죠.
계획을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가 정말로 의지력이 약하기 때문일까요? 당연하게도 열정과 의지력이 부족해서 계획에 실패하는게 아닙니다. 오늘은 우리가 계획을 지키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또 어떻게 하면 계획대로 짜여진 삶을 살아갈 수 있을지에 대한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계획을 지키지 못하는 이유
1. 꿈이 없는 목표의 설정
계획을 세우기 전에 우리가 왜 이런 목표를 가지게 되었는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꿈이 없는 막연한 목표의 설정은 그나마도 있던 열정과 의지력을 사라지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자가 되는 것, 멋진 몸매를 갖는 것, 성공한 사업가가 되는 것, 행복한 가정을 꾸리는 것... 어쩌면 지금 당장은 너무나도 추상적일 수 있는 '꿈'의 방향을 설정해야 합니다. 본인이 원하는 것을 명확하게 알고 그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면 조금 더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2. 과도한 계획 설정
계획을 지키지 못하는 두 번째 이유는 '과도한 계획 설정'입니다.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생각보다 이것을 지키지 않아 실패를 거듭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왜 계획을 무리하게 설정하게 되는 걸까요?
우리는 열정과 의지가 가득할 때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뭐든지 할 수 있을 것 같은 마음에 나의 역량을 뛰어넘는 목표와 계획을 설정하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계획을 세우기 전에 나의 열정이 끝나고 나서도 지속할 수 있는지, 즉 '나의 능력치'가 어느 정도인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누군가에게는 매일 달리기 30분이 워밍업일 수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일주일의 총 운동량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치를 모른 채 나의 능력 범위를 벗어나는 목표를 세운다면 당연하게도 그 계획은 지속되기 어렵습니다.
3. 간절함의 부재
세 번째 이유는 바로 간절함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현재의 삶이 나름 만족스럽고 또 딱히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면 목표를 설정해도 지속하기 어렵습니다. 본인의 간절함을 담아 목표와 계획을 구체적으로 설정해도 달성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한데, 간절함이 없다면 계획이 실패해도 재도전하지 않고 현재에 안주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기어코 성공하게 되는 핵심 원리
1. 꿈 찾기 (방향 설정하기)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내가 뭘 잘하고 뭘 원하는지, 또 나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면 나의 꿈에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습니다. 내가 원하는 것이 명확하다면 뒤에 따라오는 목표는 구체적 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나의 궁극적인 꿈과 목표가 무엇일지, 혹은 무엇이면 좋겠는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상상해보아야 합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내가 뭘 좋아하는지 / 뭘 잘하는지 / 현재 뭘 해야 하는지를 각각 종이에 적어본 뒤, 중복되는 몇 가지를 통해 나의 막연한 꿈을 정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무엇인가 모으는 것에 행복을 느껴.'라고 생각한 사람이 있다면 우선 뭐든 모아보는 목표를 세워보는 것입니다. 그것이 신기하게 생긴 돌일지 전자제품일지 는 모으면서 행복함을 느끼는 본인만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2. 일단 시도하고, 쉽게 포기하지 않기
방향성이 정해졌다면 일단 도전을 해봐야 합니다. 산꼭대기까지 오르는 것이 목표만 생각했을 때는 너무나도 막연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선 첫발을 떼어보고, 또 거듭해서 오르내리기를 반복하다 보면 언젠가는 정상에 오르는 날이 오게 되어있습니다.
또한 핵심은 '지속성'에 있습니다. 정상을 밟기 전 오르내리는 연습을 하다 포기하거나, 정상까지의 등산을 지속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목표에 다다를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꾸준히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에 관한 이야기를 전하는 신사임당(주언규)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목표를 달성하냐 마냐는 계속하느냐 포기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사람들은 보통 '계속한다.' 에 집중하게 되고, 지속하는 것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열정을 강요하게 됩니다. 그렇게 열정이 식게 되면 결국 포기하게 되는 거죠. 우리는 반대로 포기에 대해 생각해봐야 합니다.
포기를 만드는 두 가지 요소는 1. 미래에 대한 확신의 부족 2. 투입되는 리소스의 부족입니다. 그렇다면 포기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미래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만큼, 그 수준에 맞도록 투입되는 리소스를 낮추는 겁니다. 영원히 투입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으로 말이죠. 시간으로 따지면 하루 10분이 될 수도 있고 돈으로는 1만원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확신이 강하고, 리소스가 풍부할수록 투입할 수 있는 양도 많아질 겁니다. 그래서 누군가는 매일 10시간씩 투입해도, 하루에 1,000만원씩 투자하면서도 포기하지를 않죠. (물론 '확신'과 '자기기만'은 구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열정이 있고 없고는 포기하게 되는 이유가 아닙니다. '확신에 맞는 리소스가 투입되고 있는가'가 포기를 좌우합니다.
결론적으로 포기하지 않으려면, 나의 일상을 확신을 가지고 계속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어보세요. 하루에 턱걸이 1회 같은 목표도 괜찮습니다. 그렇게 피드백이 쌓이다 보면 저절로 확신 수준은 높아지게 되고 자연스럽게 투입량도 많아지게 됩니다."
즉,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향성을 가진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향해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전까지 꾸준히 실천한다."가 핵심입니다.
인생은 사진이 아닌 동영상
임상심리학자 조던 피터슨 교수는 삶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를 지속성에 기인하여 설명합니다. 수없이 많은 실패와 좌절이 있을 테지만, 이 과정에서의 배움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것, 그것이 인생이라고 설명합니다.
"One of the things that I've also been telling people informing people about is the idea that life isn't a game. It's a series of games and the right ethic is to be the winner of the series of games and part of that means that you have to learn how to be a good loser. ("제가 사람들에게 늘 말해오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인생은 그저 게임 한 판이 아니라는 겁니다. 삶은 연속적인 게임입니다. 올바른 길이라는 건 그 연속되는 시리즈의 게임들에서 승리하는 것이고, 그건 좋은 패배자가 되는 방법을 배워야만 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인생은 고통의 연속입니다. 우리 인생은 고난과 역경으로 가득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이것들은 나를 지치고 무너지게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인생에서 좌절의 순간 없이 행복하게만 살아가는 사람들은 없습니다. 누구나 좌절하고 또 포기하고 싶은 실패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성공의 열쇠는 여기에 달려있습니다. 이 실패와 패배의 순간을 거름 삼아 포기하지 않고 다시 시도한다면, 나를 괴롭혔던 이 경험을 통해 다음 시도에서는 똑같은 실패를 겪을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실패를 거듭하고 또 포기하지 않고 나아가다 보면 결국은 성공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위에 설명한 것과 같이 지속하기 위한 환경을 잘 만들어 두는 것 또한 필요하겠지요.
코로나 펜데믹,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또 각종 사건사고로 계속해서 들려오는 인명 피해 뉴스들... 인생은 고통입니다. 하지만 누군가는 심각한 경제위기 속에서도 성공하고, 혼란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빛을 발합니다.
어쩌면 성공을 위한 첫 시작은 정말 미약하고 작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티끌이 모여 태산이 된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마시고, 사회가 아무리 혼란해도 그 속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인물들이 탄생하는 것처럼, 시간을 동료 삼아 끊임없이 노력하다 보면 언젠가 어두운 삶의 터널 안에서 아주 강력한 희망의 빛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동기부여] 인생이 막막하고 두렵다면, 이렇게 해 보세요
뭘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살다 보면 한 번쯤 이런 막막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내가 올바른 길로 나아가고 있는지, 그렇다면 나는 지금 어디쯤 왔는지, 이런저런 고민끝에 지금껏 걸어왔
intaeng.tistory.com
'투자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지식] 연말정산 꿀팁, IRP(개인형퇴직연금)_2023년 기준 (0) | 2022.11.27 |
---|---|
[투자지식] 연말정산 꿀팁, 개인연금저축_2023년 기준 (0) | 2022.11.25 |
[동기부여] 부자 습관, 부자들이 공통적으로 가진 11가지 습관 (0) | 2022.11.04 |
[동기부여] 성공을 방해하는 최악의 습관 9가지 (0) | 2022.11.01 |
[동기부여] 인생이 막막하고 두렵다면, 이렇게 해 보세요 (0) | 2022.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