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비참하게 만드는 안 좋은 습관 9가지
통계적으로 아래의 9가지는 인생을 비참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안 좋은 습관들입니다. 이 습관들만 피할 수 있다면 우리 삶에서 최악은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유형의 안 좋은 습관들이 있는지 예시를 통해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도박
도박은 기본적으로 쾌락의 요소가 강하기 때문에 중독성이 있습니다. 게임 자체가 즐겁다 보니 깊게 빠지기도 쉽고, 승리 시 보상까지 얻게 되면 즐거운 기분까지 맛보게 됩니다. 문제는 이 즐거움을 자제하지 못할 정도로 빠지게 되는 경우입니다. 아슬아슬한 승리 이후로는 조금만 더 시도하면 더 큰 성공을 얻어낼 수 있을 것 같은 착각에 빠지게 되고, 그때부터 인생 역전을 위한 큰 배팅을 시작합니다. 그렇게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다시 승리를 통해 그 실패를 만회하고자 하면서 더욱 수렁에 빠지게 됩니다.
사람들은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한 번에 큰 성취를 이뤄내기 위해 도박을 합니다. 하지만 이런 요행을 통해 부자가 될 확률은 0%에 가깝다고 감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성공을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긴 시간이 필요합니다. 천운으로 단기간에 성공 가도에 오르는 사람들도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그게 당신일 확률 또한 0%에 가깝습니다. 성공에 지름길이 있다면,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것뿐입니다.
2. 과음
사람들은 취했을 때의 즐거움을 얻기 위해 술을 마십니다. 음주 또한 쾌락의 요소를 지니고 있어 술에 취했을 때 즐거움과 행복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당히 취기가 올랐을 때 끊어내지 못하고 습관적으로 술이 술을 마시는 상황이 연출되고, 이것이 습관으로 자리 잡으면 결국 매 순간 술을 절제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렇게 오늘도 딱 한 잔만! 을 외치고는 고주망태가 되어버리고 마는 상황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적당한 음주는 혈액순환을 돕고, 심신의 안정을 가져다주는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과음입니다. 지나친 음주는 기억력 감퇴, 비만과 고혈압, 각종 성인병의 근원이 됩니다. 또한 술을 절제하지 못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인생을 통제하지 못한다는 의미와도 같습니다. 건강하고 좋은 습관을 위해 적당한 음주에서 끝날 수 있도록 절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과도한 미디어 시청
코로나 이후 급격하게 삶으로 녹아든 온라인의 세계 덕분에 우리는 매일매일 새롭고 다양한 콘텐츠를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넘쳐나는 양질의 정보들을 잘 취합하여 이용한다면 우리에게 분명 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현대의 피로한 삶에 지쳐 사고하기를 멈추고 멍하니 영상을 보고 웃고 울기도 하지만 역시 과한 것이 문제입니다. 미디어 시청 또한 즐거움의 요소가 강하고 비교적 짧고 자극적이기 때문에 중독되기 쉽습니다. 우리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절제되고 계획적인 미디어 시청이 필요하며, 알고리즘에 이끌려 자극적이고 재미만을 추구하는 영상들을 무분별하게 시청하는 것을 지양해야 합니다.
4. 매사에 부정적인 태도
우리의 뇌는 생각하는 방향으로 신경세포를 활성시키며, 이에 따라 말과 행동에 관련된 시냅스의 결합 상태가 달라진다고 합니다. 이렇게 시냅스 결합이 견고해지면 좋은 습관으로 형성되어 무의식 세계 속에서 반사적인 행동의 결과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단지 생각을 했을 뿐인데 그것이 결과로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부정적인 생각을 지속하는 경우 무의식 속에 그 부정적인 태도가 자리 잡게 될 것이며 결국 매사의 부정적인 태도로 일관되게 됩니다. 실제로 자수성가한 부자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우리의 성공을 위해서라도 이러한 부정적인 사고를 멈추고 긍정 회로를 돌리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5. 더 이상 공부하지 않는 것
이번 생이 처음인 우리는 태어나고 자라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새로운 것들을 접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공부와 배움이 없다면 더 나은 삶을 살지는 못하겠지요. 공부와 배움, 그 과정에서의 성찰을 통해 성장하는 삶을 추구하면 더욱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6. 인생에 어떠한 계획도 세우지 않는 것
공부와 마찬가지 맥락입니다. 어디로 흐를지 모르는 인생에서 계획이 없다면 우리는 필연적으로 방황하고 또 표류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모든 인생이 계획대로만 흘러가지 않습니다. 수많은 난관과 시련이 우리를 가로막을 것입니다. 하지만 짧은 하루 목표 혹은 장기적인 목적지가 없다면 그 방황의 과정이 더욱 힘겹고 괴롭게만 느껴질 것입니다.
우리 삶의 목적지를 정해 그에 맞는 청사진을 그려보십시오. 그러면 우리의 실패와 방황 속에서도 수많은 배움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그 과정은 괴롭고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지속한다면 목표를 이뤄낼 확률은 높아지고, 어떻게든 목적지에 다다르게 된다면 우리는 달콤한 열매를 맛볼 수 있을 것입니다.
7. 소비를 통제하지 못하는 것
우리가 버는 돈보다 소비하는 돈이 더 많다면 결과는 뻔합니다. 이미 많은 돈을 가진 사람일지라도 소비를 주체하지 못한다면 가난을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의 수입에 맞게 소비하는 습관을 지녀야 하며,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버는만큼 저축하는 습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8. 안 좋은 건강 습관
매일 운동하지 않고, 패스트푸드를 즐기며, 양치를 하지 않고, 양질의 수면을 취하지 않는다면 당연하게도 우리는 건강을 잃어버릴 것입니다. 하지만 모두가 아는 이 사실을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미뤄오고 있지는 않으셨나요?
안 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어도 자각하지 못한다면 늘 하던 대로 행동하게 될 것입니다. 위에 나열한 좋지 못한 습관들을 읽어본 뒤에 스스로를 돌아봐야 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생활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9. 안좋은 습관을 가진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
좋은 스승이 좋은 제자를 배출하는 법입니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야 하며, 좋은 습관을 갖기 위해서는 좋은 습관을 행하고 있는 사람들과 어울려야 할 것입니다. 부정적인 습관을 가진 사람들과 어울리다 보면 그들의 행동과 사고방식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 삶의 건강을 위해서라면 안 좋은 습관을 가진 사람들과 거리를 멀리하고, 좋은 습관을 가진 사람들과 어울려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나 또한 좋은 습관을 가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사소한 습관이 나를 만든다
사람은 신기하게도 아는 만큼 보이고 들리며 또 자각할 수 있습니다. 엄청난 명강의 일지라도 생판 처음 듣는 언어로 듣게 된다면 그것은 우리에게 그저 소음일 뿐입니다. 우리는 위에 나열된 안 좋은 습관을 읽어보았고, 이제 우리의 습관을 자각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스스로를 돌아보며 본인이 가진 습관을 정확하게 인지해야 하고, 안 좋은 습관이 있다면 고쳐나가야 합니다.
누구나 안 좋은 습관 하나쯤은 가지고 살아갑니다. 게다가 대부분은 인생에 크게 해가 되지 않는 습관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 나열한 치명적인 습관들은 풍요로운 삶을 위해 당장 버려야 하는 것들입니다. 보다 나은 삶을 위해 위의 습관을 조금이라도 가지고 있다면 지금 당장 비워내시길 바랍니다. 안 좋은 습관을 비워내고 그 빈 자리에 좋은 습관이 자리하게 된다면, 그리고 그 과정을 평생 반복할 수 있다면, 오늘보다 내일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동기부여] 부자 습관, 부자들이 공통적으로 가진 11가지 습관
[동기부여] 내 삶을 망치는 최악의 습관 9가지 인생을 비참하게 만드는 안 좋은 습관 9가지 통계적으로 아래의 9가지는 인생을 비참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안 좋은 습관들입니다. 이 습관들만 피
intaeng.tistory.com
'투자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지식] 연말정산 꿀팁, IRP(개인형퇴직연금)_2023년 기준 (0) | 2022.11.27 |
---|---|
[투자지식] 연말정산 꿀팁, 개인연금저축_2023년 기준 (0) | 2022.11.25 |
[동기부여] 계획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성공을 쟁취하는 비밀 (0) | 2022.11.10 |
[동기부여] 부자 습관, 부자들이 공통적으로 가진 11가지 습관 (0) | 2022.11.04 |
[동기부여] 인생이 막막하고 두렵다면, 이렇게 해 보세요 (0) | 2022.10.25 |
댓글